728x90
반응형
SMALL
단독주택을 취득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할 취득세! 2025년 기준, 1주택자는 1~3%, 다주택자는 최대 12%까지 중과세율이 적용됩니다. 실제 거래가격 또는 신축 기준가격에 세율을 곱하고, 지방교육세·농어촌특별세까지 합산해 최종 세액을 산출합니다. 실전 계산 공식, 감면 혜택, 신고·납부 절차까지 꼼꼼히 안내합니다[1][2][3][4][5][6].
2025 단독주택 취득세 계산 공식 및 세율
구분 | 취득세율 | 지방교육세 | 농어촌특별세 | 총합(예시) |
---|---|---|---|---|
1주택자(6억 이하) | 1% | 0.1% | - | 1.1% |
1주택자(6억 초과~9억 이하) | 2% | 0.2% | - | 2.2% |
1주택자(9억 초과) | 3% | 0.3% | - | 3.3% |
2주택자(조정대상지역) | 8% | 1.6% | 0.8% | 10.4% |
3주택 이상(조정대상지역) | 12% | 2.4% | 1.2% | 15.6% |
※ 1주택자 기준, 6억 이하 1%, 6~9억 2%, 9억 초과 3%. 다주택자(조정대상지역)는 2주택 8%, 3주택 이상 12% 중과세율. 지방교육세·농어촌특별세는 별도 합산[1][2][3][4][5][6].
단독주택 취득세 실전 계산 예시
- 예시1) 1주택자, 5억 원 단독주택 매입
취득세: 5억 × 1% = 500만 원
지방교육세: 5억 × 0.1% = 50만 원
총 세액: 550만 원[1][2][3] - 예시2) 1주택자, 8억 원 단독주택 매입
취득세: 8억 × 2% = 1,600만 원
지방교육세: 8억 × 0.2% = 160만 원
총 세액: 1,760만 원[1][2][3] - 예시3) 2주택자(조정대상지역), 7억 원 단독주택 매입
취득세: 7억 × 8% = 5,600만 원
지방교육세: 7억 × 1.6% = 1,120만 원
농어촌특별세: 7억 × 0.8% = 560만 원
총 세액: 7,280만 원[2][3][4]
※ 실제 세액은 주택 수, 조정대상지역 여부, 거래가액, 감면 조건(생애최초 등)에 따라 달라집니다. 위택스 자동계산기 활용 추천[1][2][3][4][5].
취득세 과세표준·적용 기준
- 매매: 실제 거래가격이 과세표준
- 신축: 건물 신축가격 기준액 적용(지방자치단체 기준)
- 상속·증여: 감정평가액 또는 기준시가
- 지분 취득 시: 지분 비율대로 납부
※ 매매계약일로부터 60일 이내 신고·납부, 미납 시 가산세 부과. 신축은 건물 기준가격+토지 가격 합산[5][6].
감면 혜택 및 절세 팁
-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, 신혼부부, 농어촌주택 등은 감면·면제 조건 확인
- 조정대상지역·다주택자 중과 여부, 세대원 주택수 산정 기준 꼼꼼히 체크
- 위택스·정부24에서 자동계산기·감면 신청 서비스 활용
※ 감면 조건 충족 시 수백만 원 절세 가능. 반드시 사전 확인 및 서류 준비 필요[1][2][4][5][6].
자주 묻는 질문(FAQ)
- Q. 단독주택 취득세는 어떻게 계산하나요?
A. 실제 거래가액 또는 신축가격에 세율(1~3%, 다주택자 최대 12%)을 곱하고, 지방교육세·농어촌특별세를 합산합니다[1][2][3][4][5][6]. - Q. 다주택자 취득세율은?
A. 조정대상지역 2주택 8%, 3주택 이상 12% 중과, 지방교육세·농어촌특별세 별도[2][3][4]. - Q. 감면·면제 조건은?
A. 생애최초, 신혼부부, 농어촌주택 등은 일정 요건 충족 시 감면·면제 가능[1][2][5]. - Q. 신고·납부는 어디서?
A. 위택스 또는 관할 시·군·구청 세무과에서 60일 이내 신고·납부[5][6]. - Q. 자동계산기는 어디서?
A. 위택스·정부24에서 취득세 자동계산기 제공[1][2][3][5].
2025년 서울 아파트 매매 시 취득세(+기본세율·감면·계산법·1주택자·다주택자별 세율과 실전 절
핵심 요약 2025년 서울 아파트 매매 시 취득세는 1주택자 기준 취득가액 6억 원 이하 1%, 6억 초과~9억 이하 2%, 9억 초과 3%로 부과됩니다. 다주택자는 추가 중과세율(2주택 +4%, 3주택 이상 +10%)이 적용
strolldownapath.com
양도소득세 신고기간·방법·납부 총정리(+부동산·주식별 필수 가이드)
핵심 요약 2025년 양도소득세 신고는 자산 유형별로 기간이 다릅니다. 부동산은 양도일로부터 2개월 이내 예정신고 후 다음 해 5월 확정신고, 주식은 반기별 예정신고 후 다음 해 5월 확정신고가
strolldownapath.com
양도소득세 세율·비과세·계산법 완벽 가이드(+1주택 비과세 조건과 실전 계산법까지)
핵심 요약 2025년 양도소득세는 자산 유형, 보유 기간, 주택 수 등에 따라 세율이 다르게 적용됩니다. 1세대 1주택자는 2년 이상 보유 시 12억 원 이하 실거래가 기준 비과세가 가능하며, 일반 과세
strolldownapath.com
728x90
반응형
LIST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등록면허세·등기신청수수료 납부법, 전자신고·최신 수수료표 한눈에 (2) | 2025.07.04 |
---|---|
2025 코스피 하락 요인 원인 분석,대내외 변수·기관 매도·실전 투자 팁(+경제지표·정책·수급 변화 실전 해설) (4) | 2025.07.04 |
프리랜서 퇴직금 지급받는 법, 근로자성 인정부터 세금까지 총정리 (1) | 2025.07.01 |
2025 엔화환율 예측, 환차익 실전 전략 바로 알아보기 (4) | 2025.07.01 |
2025 달러환율전망(+환차익 극대화 투자전략) (1) | 2025.07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