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제
청년도약계좌 vs. 주식투자(+5년간 청년도약계좌 + 미국 ETF 투자를 복합 전략)
by stroll down a path(오솔길을 거닐다)
2025. 6. 29.
✅ 전제 조건 (혼합 전략 기준)
항목내용
청년도약계좌 납입 |
월 30만 원 × 60개월 = 총 1,800만 원 |
미국 ETF 투자 |
월 10만 원 × 60개월 = 총 600만 원 |
청년도약계좌 예상 이율 |
연 복리 4% + 정부 지원 등 포함 (보수적 추정) |
ETF 연 수익률 |
연 7% (VOO 등 미국 지수 ETF 기준, 보수적) |
ETF 세금 |
22% (해외 주식 양도소득세) |
✅ 1. 청년도약계좌 5년 수익 계산
항목값
납입 원금 |
1,800만 원 |
연복리 수익률 |
약 4% 가정 (이자 + 정부 지원 포함) |
예상 총 수령액 |
약 2,150만 원 (세금 없음) |
순수익 |
350만 원 (고정 이익) |
※ 실제 지원금이 소득 수준에 따라 달라지므로 300~400만 원 사이로 예측
✅ 2. 미국 ETF 5년 수익 계산
📌 적립식 투자 공식 적용
- 월 10만 원 × 60개월 = 600만 원
- 평균 연 수익률 7%
- 복리 계산 결과: 약 708만 원 (세전)
📌 세후 수익 (22% 세금 반영)
- 708만 원 − 600만 원 = 108만 원 수익
- 세금: 108만 원 × 22% = 약 24만 원
- 최종 수익: 84만 원
- 최종 수령 총액: 684만 원
✅ 3. 혼합 전략 총 수익 비교
항목청년도약계좌미국 ETF합계
원금 |
1,800만 원 |
600만 원 |
2,400만 원 |
수익 |
약 350만 원 |
약 84만 원 |
434만 원 |
총 수령액 |
약 2,150만 원 |
약 684만 원 |
2,834만 원 |
✅ 만약 전체 2,400만 원을 ETF에만 넣었다면?
- 월 40만 원 × 60개월 = 2,400만 원
- 7% 수익률 기준 예상 수익: 약 2,832만 원 (세전)
- 수익: 432만 원 → 세금 95만 원(22%)
- 최종 수익: 약 337만 원, 총 수령 약 2,737만 원
✅ 결론: 혼합 전략이 수익도 높고 안정성도 확보
전략총 수익안정성유동성
청년도약계좌 100% |
약 350만 원 |
최고 (정부보장) |
낮음 (5년 묶임) |
ETF 100% |
약 337만 원 |
낮음 (리스크 있음) |
높음 |
혼합 전략 (30:10) |
약 434만 원 |
중간 (분산투자) |
일부 유동성 있음 |
🔔 정리 요약
- **혼합 전략(청년도약계좌 + ETF 분산 투자)**은
고정수익과 기대수익을 함께 챙기면서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실속 있는 선택입니다.
- 30만 원은 안전하게, 10만 원은 성장성에 투자 → 현실적으로 가장 추천하는 구성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