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“통역 일 도와주면 숙식 제공해줄게.”
단순 아르바이트 제안을 믿고 비행기에 올랐던 그녀는, 몇 시간 뒤 쇠창살 안에 갇혀 있었다. ‘일어 통역’은 미끼였고, 현실은 감금과 폭력, 그리고 성인방송 강요였다.
📑 목차
- 1️⃣ “일어 통역 구합니다” — 평범한 구인 글의 함정
- 2️⃣ 쇠창살 안의 ‘성인방송 노예’…감금과 폭행의 실태
- 3️⃣ 배우·인플루언서까지 얽힌 국내 연계 조직
- 4️⃣ 급증하는 해외 구직 범죄, 정부의 대응 현황
- 5️⃣ 해외 취업 사기, 이렇게 피하세요
- 💬 자주 묻는 질문 (FAQ)
1️⃣ “일어 통역 구합니다” — 평범한 구인 글의 함정
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서 ‘일어 통역 아르바이트 구인’이라는 게시글을 통해 피해자들을 유인한 인신매매 조직이 적발됐습니다.
이들은 “캄보디아 현지 기업에서 일어 통역을 돕는 단기 근무”, “숙소·항공권 제공, 월 300만 원 이상” 등의 조건을 내걸었지만, 현지에 도착한 피해자는 여권을 빼앗기고 감금됐습니다.
이후 일부 피해자는 폭행과 협박 속에서 성인방송 콘텐츠 촬영을 강요받았으며, 촬영 거부 시 폭행과 굶김이 이어졌다고 진술했습니다.

2️⃣ 쇠창살 안의 ‘성인방송 노예’…감금과 폭행의 실태
캄보디아 프놈펜 외곽의 한 빌라 건물. 그 안은 철창과 잠금장치로 둘러싸인 불법 촬영소였습니다.
피해자들은 하루 12시간 이상 성인방송 촬영을 강요받았으며, 식사나 외출은 통제되었고, ‘도망 시 가족 피해’ 협박도 지속되었습니다.
현지 경찰은 피해자 구조 후 “성매매 조직이 아닌, 디지털 콘텐츠 위장형 인신매매로 분류했다”고 발표했습니다.
즉, 외형은 ‘콘텐츠 제작사’, 실상은 ‘인신매매형 감금소’였던 것입니다.
3️⃣ 배우·인플루언서까지 얽힌 국내 연계 조직
수사 결과, 이 조직은 SNS 인플루언서 및 국내 전직 배우를 앞세워 피해자 모집을 진행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
피해자의 신뢰를 얻기 위해 실제 연예인 얼굴이 등장하는 ‘홍보 콘텐츠’를 제작, 공식 회사처럼 꾸미는 수법이었습니다.
또한, 일부 모집책은 한국 내에서 피해자와 직접 미팅 후 여권과 항공권 발급까지 도와주는 등 ‘합법 취업 루트’로 위장한 정교한 구조였습니다.
4️⃣ 급증하는 해외 구직 범죄, 정부의 대응 현황
외교부에 따르면, 2024~2025년 사이 캄보디아·라오스·미얀마 등에서 발생한 ‘취업 미끼형 감금 사건’은 전년 대비 3배 증가했습니다.
정부는 SNS 구인 글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및 ‘해외 취업 사기 주의보’를 발령했지만, 여전히 피해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.
특히 구직 사기 + 인신매매 + 디지털콘텐츠 범죄가 결합된 신종 수법은 기존 수사망을 피하기 쉬워, 국제 공조가 필수적입니다.
캄보디아 보이스피싱 조직 실태와 해외취업 사기 수법 총정리 (2025 최신판)
⚠️ 캄보디아 납치 사건 총정리 | 한국인 인신매매 실태 및 예방법[살구뉴스 취재]“캄보디아에서 사라진 한국인들, 그들은 어디로 갔을까?” 2024년부터 이어진 캄보디아 납치·감금·보이스피
strolldownapath.com
2025년 캄보디아 한국인 납치 사건 타임라인 총정리 (외교부 공식입장 포함)
“2025년 캄보디아 납치 사건, 진짜 있었나?” 실시간 타임라인 및 정부 대응 총정리[살구뉴스 해외이슈팀] “캄보디아에서 한국인들이 납치됐다.” 2025년 7월, 온라인을 달군 충격적인 제목의 기
strolldownapath.com
5️⃣ 해외 취업 사기, 이렇게 피하세요
- ① SNS·메신저로 접근하는 ‘고수익 아르바이트’는 99% 사기
- ② 외국어 통역·모델 구인이라도 사업자등록 여부를 반드시 확인
- ③ 항공권·숙소를 업체가 제공한다면 위험 신호
- ④ 계약서에 ‘근무 국가’와 ‘업무 내용’ 명시 필수
- ⑤ 출국 전, 외교부 여행자 등록 서비스 가입
💬 자주 묻는 질문 (FAQ)
- Q1. 해외 취업 제안을 받았는데 믿어도 될까요?
 A. SNS, 텔레그램, 이메일 등 비공식 루트의 제안은 대부분 사기입니다. 반드시 회사 등록번호와 연락처를 검증하세요.
- Q2. 피해를 당했을 때 어디에 신고하나요?
 A. 해외 현지 경찰 및 주재 한국 대사관, 외교부 영사콜센터(☎ 02-3210-0404)에 즉시 연락하세요.
- Q3. 실제로 감금 피해자가 구조된 사례가 있나요?
 A. 예, 2025년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한국인 여성 4명이 공동 수사로 구조되었습니다.
- Q4. 정부는 어떤 대응을 하고 있나요?
 A. 외교부와 경찰청은 ‘해외 구직 사기 특별대응팀’을 운영 중이며, SNS 플랫폼과도 협력 중입니다.
- Q5. 이미 계약금을 보냈는데 취소할 수 있나요?
 A. 송금 즉시 은행에 지급정지를 요청하고, 경찰에 ‘해외 송금 사기’로 신고하세요.
© 본 콘텐츠는 피해 예방을 위한 공익 보도 성격의 기사입니다.
'사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이재명 “국제범죄 뿌리 뽑겠다” 캄보디아 납치 사건 계기로 초강경 대응 지시 (0) | 2025.10.25 | 
|---|---|
| 🏘 2025 부동산 청약정책 대개편 | 청년·신혼부부 기회 확대, 분양가상한제 완화 총정리 (0) | 2025.10.19 | 
|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& 청약홈 바로가기 | 공식 사이트 모음집 (1) | 2025.10.19 | 
| 캄보디아 여행 전 필독! 현지 위험 지역 & 외교부 경보 단계 총정리 (0) | 2025.10.19 | 
| 2025년 캄보디아 한국인 납치 사건 타임라인 총정리 (외교부 공식입장 포함) (0) | 2025.10.19 | 
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